분류 전체보기 15

갈비가로막오목 (costodiaphragmatic recess), 늑골횡격막오목

갈비가로막오목의 위치 및 구조갈비가로막오목(costodiaphragmatic recess) 또는 늑골횡격막오목은 가슴막 안의 뒤쪽-가쪽 구석에 위치하는, 폐 주변의 잠재적인 공간이다.   하부늑골과 횡격막 사이에 위치하는 잠재적 공간으로, 갈비가슴막(갈비뼈를 덮는 벽측흉막)과 가로막가슴막(횡격막을 덮는 흉막)이 예각을 이루며 만나는 접합부에 위치한다.  단순 X선 촬영에서 갈비가로막각(costophrenic angle, 늑골횡격막각)이라는 예각 부분으로 보인다. 갈비가로막오목(늑골횡격막오목)은 중간겨드랑이선을 따라 8번째 늑골에서 10번째 늑골까지 존재한다.   갈비가로막오목의 기능강제 흡기 시 폐는 갈비가로막오목(늑골횡격막오목)까지 확장될 수 있다. 강제 들숨으로 폐가 평소보다 더 커질 필요가 있을 때..

카테고리 없음 2024.11.19

바르부르크 효과, 암조직의 산성화 결과

바르부르크 효과, 와버그 효과(Warburg effect)바르부르크 효과 또는 와버그 효과(Warburg effect)는, 산소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암세포들이 산소호흡보다 해당과정을 선호하는 현상을 말한다. 암세포는, 에너지 대사 효율이 높은 미토콘드리아에서의 산화적 인산화 과정보다 해당과정에 의존하여 포도당을 대사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호기적 해당에 의해 암세포는 해당과정에 의한 포도당 대사가 항진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젖산과 수소이온(H+)의 생성량이 늘어난다. 이로 인한 세포 내 산성화는 세포의 기능과 생존을 위협하므로, 세포는 V형 ATP 분해효소, MCT, Na+-H+ 교환체 등을 사용하여 해당과정에서 생성된 젖산과 수소이온(H+)을 적극적으로 세포 밖으로 배출한다. 그 결과, 암세포의 주위 ..

카테고리 없음 2024.11.17

진늑골, 가늑골, 부유늑골 (true ribs, false ribs, floating ribs)

12쌍의 늑골은 앞부분은 흉골과 연결되고 뒷부분은 흉추(body, TP)와 관절하여 흉곽을 형성하고 흉강 내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1-7번째 늑골은 늑연골(costal cartilage)를 통해 흉골(sternum)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 각자의 늑연골을 통해 하나씩 흉골에 연결되어 있는 7쌍의 늑골을 진늑골(true ribs, 참갈비뼈)라고 부른다.  한편,  8-10번째 늑골은 흉골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위쪽 늑골의 늑연골을 통해 7번째 갈비뼈에 부착되는데, 이렇게 흉골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 늑골들을 가늑골(false ribs, 거짓갈비뼈)라고 한다.  가장 아래쪽의 11-12번째 늑골은 흉골에 닿지 않는 가늑골로, 부유늑골(floating ribs, 뜬갈비뼈)이라고 부른다.   ..

카테고리 없음 2024.11.14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

광전효과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란, 물체에 빛을 쪼이면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빛을 받은 물체에서 방출되는 자유 전자를 광전자라 한다.  그림.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 입자광자가 흡수체(피사체) 원자의 궤도전자에 모든 에너지를 부여하는 과정으로, 대개 전자의 결합에너지보다 큰 에너지가 전달되므로 전자는 궤도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탈된 전자를 광전자(photoelectron)라고 부른다.   광전효과에서 입사광자는 내각의 궤도전자와 충돌하여 광자의 에너지를 모두 전자에게 주고 소멸하게 된다. 이처럼 광전효과는 흡수체 원자의 궤도전자가 입사광자의 에너지를 모두 흡수하는 과정이므로, 광전효과를 '광전흡수'라고도 부른다. 이때 광자로..

카테고리 없음 2024.11.12

광전흡수(photoelectric absorption)과 방사선 사진

광전흡수와 방사선 사진영상방사선 진단에서 X선의 흡수는 광전효과에 의한 X선의 흡수(광전흡수)에 의해 일어난다. > 광전효과(Photoelectric effect) >>  광전효과의 발생확률은 물질(피사체)의 원자번호의 세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조직 간 원자번호의 작은 차이에도 광전흡수의 차이는 매우 커진다.  조직간 광전흡수 차이는 구성 물질의 원자번호 외에도 피사체의 밀도와 두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광전효과의 발생 확률 ∝ (X선 광자의 에너지)-3(원자번호)3 X선 방사선 사진 영상의 대조도는 조직간 X선 흡수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조직간 흡수차가 클수록 대조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조직간 광전흡수의 차이는 인체 부위별 X선 투과의 차이(피사체 대조도)로 나타나며 이는 방사선사진의 대..

카테고리 없음 2024.11.10

광전효과의 발생확률

광전효과의 발생확률 광전효과를 일으킬 확률은 광자의 에너지와 상호작용하는 물질(흡수체)의 원자번호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입사광자의 에너지가 물질 내 궤도전자의 결합에너지와 같거나 큰 에너지를 가져야만 광전효과가 일어나며 그보다 작은 에너지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광자의 에너지가 너무 커서 궤도전자에 완전히 흡수되지 않을 때에도 광전효과는 일어나지 않는다. ▶광전효과의 발생 확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입사광자의 에너지가 궤도전자의 결합에너지보다 약간 클 때 잘 일어난다. -K각 전자의 결합에너지에 비해 높은 에너지에서 발생확률은 급격히 감소한다.-광자의 에너지가 궤도전자의 결합에너지와 같거나 약간 클 때 발생확률이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흡수단을 형성한다. -원자핵에 강하게 결합된 전자일수록 발..

카테고리 없음 2024.11.10

LET(linear energy transfer)

LET(선에너지전달) LET는 linear energy transfer의 약어로, 선에너지전달 또는 선에너지부여라고 한다. LET는 하전입자가 지나간 흔적을 따라 물질에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주는지를 나타낸다. 하전입자선의 LET를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알파선이나 베타선 등의 하전입자는 물질 속에서 여기 및 전리를 일으키고, 또한 제동방사선으로 바뀌면서 에너지를 잃고 멈추게 된다. 입자가 멈출 때까지의 거리를 도달거리라고 부르며, 단위거리당 잃은 에너지를 에너지손실 또는 저지능(stopping power)이라고 한다.  저지능은 여기나 전리에 의한 충돌저지능과, 제동복사에 의한 방사저지능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자세히 다루지는 않겠지만, 조건을 따지지 않는다면 충돌저지능이 LET(선에너지부여)라고..

카테고리 없음 2024.11.09

라이낙(LINAC) 치료기의 Dual mode

라이낙(LINAC) 치료기 의료용 선형가속기, 라이낙(LINAC) – Godospot Medi-cancer라이낙의 개요 의료용 선형가속기인 라이낙(LINAC)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사선 치료기이다. 라이낙은 고주파를 이용하여 전압의 부호를 바꾸어 108 eV(100 MeV)이상의 에너지를 얻어info-godospot.com Dual-mode엑스선으로 치료할 경우에는 가속된 전자를 금속 타깃에 충돌시켜 엑스선을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되는 엑스선은 타깃에서의 감약차 때문에 선속이 평탄하지 않기 때문에, 엑스선 치료 시에는 선속을 평탄하게 만들어 주는 선속평탄여과판을 사용한다. 그런 다음 X선이 제대로 나오는지 확인하기 위해 방사선 검출기를 지나가게 된다. 그 후 치료 부위에 맞게 조사야를 조..

카테고리 없음 2024.11.07

해당작용

포도당 1분자가 해당작용을 통해 2분자의 젖산이 될 때 2분자의 수소이온(H+)이 생성된다. 그림. 해당작용. 해당과정이 항진되면 세포 내 젖산과 수소이온이 늘어난다. 해당과정에서는 포도당에서 피루브산, ATP, NADH+, H+가 만들어진다. 혐기성 해당과정과 젖산발효에서는 NADH+, H+를 환원제로 사용하여 피루브산을 환원하여 젖산으로 만든다. 포도당 1분자가 해당작용에서 2분자의 젖산으로 될 때 2분자의 수소이온(H+)이 생성된다. 젖산으로 변환되는 반응에 의해 NAD+를 재생하여 해당과정에서의 대사가 계속된다. 따라서 해당과정이 항진되면 세포 내에서 젖산과 H+이 늘어나고 세포 내 pH가 저하된다.  정상보다 몇 배나 많은 수소이온(H+)이 축적되어 세포 내 pH가 저하되어 산성이 되면, 세포 ..

카테고리 없음 2024.10.30

척추 측만증 보조기의 작용 기전

측만증 보조기의 교정력은 용수철을 당기듯 만곡을 잡아당겨서 교정하는 신연력(distraction)과, 만곡의 위아래 부위를 고정하고 만곡의 볼록한 부분을 압박하여 교정하는 삼정고정(3 point fixation)법에 의한 측방전위력(lateral translation force)이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조기의 작용기전은 만곡의 첨부 척추체를 압박하여 만곡을 교정한다. 척추측만증은 단순히 관상면에서의 2차원적 변형이 아니라 3차원상의 입체적인 변형이기 때문에 보조기에 의한 교정도 3차원적으로 교정해 주는 것이 이상적이다. 밀워키(Milwaukee) 보조기의 작용 기전척주의 만곡을 상하로 잡아당기는 능동적인 신연의 힘과 튀어나온 만곡의 돌출부위를 측방에서 눌러주는 압박력이동시에..

척추측만증 2024.10.19